跳转到内容

讨论:古鏡重磨方/篇題

页面内容不支持其他语言。
添加话题
維基文庫,自由的圖書館
最新留言:DuckSoft在1年前发布在话题這篇文章的作者是誰?

這篇文章的作者是誰?[编辑]

原書題目是「御製古鏡重磨方篇題」,後有「臣金在魯奉教謹書」,推測是當時朝鮮國王撰稿。 問題來了:當時的國王是哪位?是朝鮮宣祖嗎? @Blahhmosh DuckSoft留言2023年6月5日 (一) 06:00 (UTC)回复

根據韓國民族文化大百科:
조선전기 문신·학자 이황이 옛 명(銘)·잠(箴) 중에서 수양이 될 만한 것을 뽑아 1607년(선조 40)에 제자인 정구(鄭逑)가 저술한 교양서. Blahhmosh留言2023年6月5日 (一) 16:25 (UTC)回复
也就是說,這是郑逑根據李滉的銘和箴編篡的一本書。
李滉(1501年—1570年)。 Blahhmosh留言2023年6月5日 (一) 16:28 (UTC)回复
還有:
1744년(영조 20) 영조가 왕실 교육 목적으로 간행하였다. 책 끝에는 편자의 오언시가 있어, 책의 제명이 선철(先哲)의 학문태도를 본받는 것에서 유래하였음을 밝히고 있다.
책머리에는 1744년 김재로(金在魯)가 쓴 ‘어제고경중마방편제(御製古鏡重磨方扁題)’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.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(殷湯)의 반명(盤銘)과 주무왕(周武王)의 석사단명(席四端銘) 등으로부터 당송의 명현인 한유(韓愈)의 오잠(五箴), 정자(程子)의 사물잠(四勿箴) 등 23명의 잠·명 76편을 수록하였다. 그리고 끝에는 주희(朱熹)의 고경중마(古鏡重磨)가 자기수양에 지침이 된다는 칠언시와 그 대의를 밝힌 이황의 해설이 있으며, 그 끝에는 책의 요지를 밝힌 이황의 오언시와 그것을 해설한 정구의 글이 함께 실려 있다. 이 책은 1744년 세자시강원(世子侍講院)에 의하여 간행되어 세자시강원의 교재로 쓴 것이다. 규장각도서에 있다. Blahhmosh留言2023年6月5日 (一) 16:31 (UTC)回复
也就是說,這個王很有可能是英祖 Blahhmosh留言2023年6月5日 (一) 16:32 (UTC)回复
好的,非常感謝您的指點! DuckSoft留言2023年6月6日 (二) 03:46 (UTC)回复
順便問一下,
https://kyudb.snu.ac.kr/book/view.do?book_cd=GN00070_00
1b頁的字是什麼?
“司馬公布(?衾)銘      范堯夫” Blahhmosh留言2023年6月7日 (三) 11:58 (UTC)回复
我手上的底本來源於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,在 pp.33 有「司馬公布衾銘」字,應該沒有問題。 DuckSoft留言2023年6月7日 (三) 16:56 (UTC)回复